단둥 민박 원소절의 유래
발표 날짜:2023-02-03          독해 량:1422
원소절 (元宵), 소정월 (小正月), 원석 (元夕) 또는 등절 (燈節)은 매년 음력 정월 보름날에 한다.정월은 음력의 원월으로서 옛사람들은"밤"을"소"라고 불렀고 정월 보름은 일년중 처음으로 달이 둥근 밤이기에"원소절"이라고 불렀다.도교의"삼원"설법에 따르면 정월 대보름을"상원절"이라고도 한다.원소절의 풍습은 예로부터 열렬하고 경사스러운 등불 관습을 위주로 한다.원소절은 비교적 오랜 과정을 거쳐 형성된것으로 민간에서 등불을 켜고 기원했다 …>>>
 
 
 
닻시
기본 정보
중국어 명칭은 원소절이고 외국어명칭은 lantern이다festival 별명 ShangYuanJie TianGuan 절, 봄 축제, 작은 정월 대보름날 명절 기간, 정월 대보름 명절 장르 중국의 전통 명절 유행 지역 중국 명절 연등을 기원하는 제사 풍습, 한무 제 말, 기념 무 뤼 등 명절 활동 ShangDeng 압 배, 높은 나무다리를 타는 춤, 춤을,고 명절 음식 등 롱 수수께끼를 원소 (Yuan Xiao), 새 알심 명절 의미 전승과 전통 문화를 한층 더 발양하 설치시간을 정하 한조 유산 분류 번호 x-71 민속 비준 시간으로 2014년 12월 3일 비 유산 보호 단위와 광부
간단 한 소개
원소절 (元宵), 소정월 (小正月), 원석 (元夕) 또는 등절 (燈節)은 매년 음력 정월 보름날에 한다.
 
정월은 음력의 원월으로서 옛사람들은"밤"을"소"라고 불렀고 정월 보름은 일년중 처음으로 달이 둥근 밤이기에"원소절"이라고 불렀다.도교의"삼원"설법에 따르면 정월 대보름을"상원절"이라고도 한다.원소절의 풍습은 예로부터 열렬하고 경사스러운 등불 관습을 위주로 한다.
 
원소절은 비교적 오랜 과정을 거쳐 형성되였는데 민간의 등불을 켜고 복을 기원하는 옛풍속에서 기원되였다.일반적인 자료와 민속전설에 따르면 정월 대보름은 서한시기에 이미 중시를 받았지만 정월 대보름 원소절이 진정으로 전국의 민속명절로 된것은 한위이후부터이다.정월 대보름날 등불을 켜는 풍습은 또한 불교의 동쪽전파와 관련이 있다. 당조때 불교가 크게 흥성하여 관원과 백성들이 정월 대보름날에 보편적으로 등불을 켜서 부처에게 공양했다. 불가의 등불은 민간에 널리 퍼졌는바 당조때부터 정월 대보름날 등불을 켜는 풍습은 법정의무가 되었다.
 
원소절은 중국의 전통 명절의 하나이다.원소절은 주로 꽃등 감상, 탕위안 먹기, 등불 수수께끼 맞히기, 불꽃놀이 등 일련의 전통 민속 활동이 있다.많은 지역은 정월 대보름에 용등놀이, 사자춤, 높은 나무다리밟기, 뱃놀이놀이, 양걸놀이, 태평고치기 등 전통 민속 공연을 추가했다.2008년 6월, 정월대보름날에 제2차 국가급 무형문화유산으로 선정되였다.
 
목록
1. 명절의 기원
2. 력사적발전
3. 한족민속
4. 사회적영향
5. 명절의 의의
6. 유산명부
7. 사회활동
8문학기술
9 절 전설
 
앵커 접기이 축제의 기원을 편집합니다
닻점 접기 명절의 유래
원소절은 중국의 전통적인 명절이다. 원소절 풍속은 비교적 오랜 과정을 거쳐 형성되였는데 민간의 등불을 켜고 복을 기원하는 옛풍속에서 기원되였다.등불을 켜고 복을 빌면 보통 정월 14일 밤에"시등"을 시작하고 15일 밤에는"정등"이라고 하며 민간에서는 등잔불을 켜서"등잔보내기"라고도 하며 신에게 제사를 지내고 복을 빈다.동한 (東漢) 불교문화의 전래는 원소절 풍속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한 (漢) 나라 영평 (永平) 연간에 한 (漢) 나라 명제는 불교를 널리 전파하기 위해 정월 보름날 밤에 궁중과 사원에서 등불을 피우고 부처님을 표상하라는 령을 내렸다.그리하여 정월 대보름날 밤에 등을 켜는 풍습은 불교문화의 영향과 후에 도교문화가 들어오면서 점차 중국에서 널리 퍼졌다.남북조시기에 정월 대보름날에 등불을 켜는 풍기가 점차 형성되였다.양무제는 불교를 독실하게 믿었는데 궁중에는 정월 15일에 등불을 달았다.당조시기에 국내외문화교류가 더욱 밀접해지면서 불교가 크게 흥성하여 관원과 백성들이 정월 보름날에 보편적으로 등불을 켜고 불공을 드리웠으며 민간에는 불가등불이 널리 퍼지게 되였다.당조때로부터 정월 대보름날에 등불을 켜는 일은 법으로 정한 일로 되였다.
 
음력 정월 대보름은 원소절인데, 상원절 · 원야 · 등절이라고도 한다.정월은 음력의 원월이며 옛사람들은 밤을"소"라고 불렀기에 정월 대보름날을"원소절"이라고 불렀다.사회와 시대의 변천에 따라 원소절의 풍속습관은 이미 비교적 큰 변화를 가져왔지만 지금까지 여전히 중국의 민간전통명절이다.원소 (元宵)는 초기의 축제과정에서는 정월 보름날, 정월 보름, 월망 (月望)으로만 불렀고 수나라 이후에는 원석 (元宵) 또는 원야 (元夜) 라고 불렀다.당조초기에 도교의 영향을 받아 상원이라고도 불렸으며 당조말기에 우연히 원소라고 불렀다.그러나 송조이후로는 등석이라고도 한다.청조에 이르러 등절이라는 이름을 달게 되였다.국외에서 원소 (元宵)는 the lantern festival로 알려져 있다.정월 대보름날 밤에 중국인들은 전통적으로 꽃등 감상, 탕위안 (湯元) 먹기, 원소 먹기, 등불 수수께끼 맞히기, 불꽃놀이 등 일련의 전통 민속 활동을 한다.
 
닻점은 다른 전설들을 접는다
평려를 기념하다
 
전하는데 의하면 원소절은 한문제때"평려"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것이라고 한다.한고조 류방이 죽은후 려후의 아들 류영이 혜제로 등극하였다.한혜제가 병으로 죽은 뒤 여후가 정사를 독점해 유씨 천하를 여씨 천하로 만들자 조정의 노신들과 유씨 종실은 분개했지만 모두 여후의 잔악함이 두려워 감히 노여움을 이기지 못했다.
 
려후가 병으로 죽은후 여러 려들은 흉년이 들고 배척을 당할가봐 두려워하였다.그는 장군 려록의 집에 비밀리에 모여 소란을 일으키고 류씨의 강산을 철저히 탈취하기 위해 공모하였다.이 소식은 유씨 (劉氏)의 종실인 제왕 (諸王) 유양이 (劉양이)에게 전해졌고, 유양은 유씨의 강산을 보호하기 위해 군사를 일으켜 여러 여려를 토벌하기로 결정하고, 개국신인 주발 (周발)과 진평 (陳平)과 연락을 취하여 여록을 제거하기로 계획하여, 여로의 란은 마침내 철저히 평정되었다.
 
난이 평정된후 신하들은 류방의 넷째아들 류항을 옹립하여 등극시키고 한문제라 칭했다.태평성세가 쉽게 이루어졌다고 느낀 문제는"제려의 란"을 평정하는 정월 대보름을 백성들과 함께 즐기는 날로 정하고 경성의 집집마다 등불을 달고 오색천으로 장식하여 경축했다.이때로부터 정월 대보름은 온 세상이 함께 경축하는 민간명절인"정월대보름"이 되였다.
 
한무제시기에는"태일신"의 제사를 정월 보름으로 정하였다.신 (神)은 모든 것을 지배한다.전하는데 의하면 사마천은"태초력 (太初历)"을 창건할 때 이미 원소절을 중대한 명절로 정했다고 한다.
 
횃불
 
원소절은 중국의 전통적인 명절이다. 전하는데 따르면 원소절 등불구경은 상고시대 사람들이 시골이나 들에서 횃불을 들고 벌레와 짐승들을 쫓으면서 충해를 줄이고 좋은 수확을 얻기를 기원하면서 시작되였다고 한다.오늘날까지도 중국 서남의 일부 지역에서는 정월 대보름날에 갈대나무나 나무가지로 홰불을 만들어 무리를 지어 홰불을 높이 들고 밭머리나 곡식을 말리는 마당에서 춤을 춘다.수나라, 당나라, 송나라 이후로 한때 더욱 성행하였다.가무에 참가한 사람은 수만명에 달하였는데, 저녁부터 저녁까지 모두 그만두었다.사회와 시대의 변천에 따라 원소절의 풍속습관은 이미 비교적 큰 변화를 가져왔지만 지금까지 여전히 중국의 민간전통명절이다.
 
삼원설.
 
원소날 등불을 피우는 풍속은 도교에서 기원하였다는"삼원설"이 있다.상원은 새해의 첫 번째 보름달이 뜨는 밤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세시잡기 」에는 상원의 유래에 대해 도교의 관례에 따른 것이라고 기록되어 있다.한말 도교의 중요한 파벌인 오두미도 (五斗美道) 가 신봉하는 신은 천관, 지관, 수관 (水官) 인데, 천관은 복을 주시고, 지관은 죄를 사하고, 수관은 용서 (용서)를 베풀며, 삼원에 삼관을 배비하였는데, 상원 천관은 정월 보름생, 중원 지관은 7월 보름생, 하원 수관은 10월 보름생이라고 했다.위진시기의 도가들은"삼관"과 시기, 절기, 계절이 서로 어울린다고 하여 정월 보름날을"상원", 7월 보름날을"중원", 10월 보름날을"하원"으로 정했는데 이를 합쳐"삼원"이라고 한다.이렇게 정월 대보름을 상원절이라고 한다.남송의 오자목은 ≪ 몽량록 ≫에서"정월 15일 원석절은 상원천관이 복을 내리는 날이다."라고 하였다.그러므로 원일에는 등불을 밝힌다.
 
명제가 부처님을 공경하다
 
불교설에서 유래하다.이 설법은 주로 호신생선생이 주필을 맡은 ≪ 사회풍속 300 제 ≫에서 제기한것이다."불교교의에서는 불빛을 부처의 위엄있는 신에 비기고있다. ≪ 무량수경 ≫에는'무량화염은 무한히 빛난다.'는 설법이 있다.불교 교의에서 등은 줄곧 불전의 공구 중의 하나이다.또한, 불교에서는"백천등명참회죄 (百千등명참회죄)"(부처장경),"세등명최복전 (世등명최복전)"(무량수경)을 반복하여 선전하고 있다.불교의 잔치를 만날 때는 늘 밝은 등불을 밝힌다.불교 전설에서 정월 대보름에 등을 새기는 것은 부처의 변화와 관련된 사적이다.
 
승사략 (승사략)에 따르면, 부처님 석가모니가 변화를 보여주고 신마를 굴복시킨 날은 서양에서 12월 30일, 즉 동토 정월 대보름으로, 이날은 부처님의 변화를 기념하기 위해 연등법회를 거행했다.동한의 명제 (明帝) 때, 모텡축 (mo텡축) 프란이 동방에 와서 선교를 할 때, 명제는 칙령을 내려 정월 대보름날 부처님께 변화가 오는 날에 등을 켜도록 했으며, 친히 사원에 가서 등을 켜 불교를 예배했다.그후부터 정월대보름 등불이 널리 보급되였다."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불교가 이날을 통해 사람들의 축제 분위기를 이용해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고 주장하면서, 이러한 관점이 성립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앵커 접기 역사 발전의 단락을 편집합니다
닻점은 계절과 풍속을 접는다
원소절의 절기와 풍속 활동은 역사의 발전에 따라 연장되고 확장된 것이다.축제의 길이는, 한 (漢) 나라 때는 하루, 당 (唐) 나라 때는 3일, 송 (宋) 나라 때는 5일, 명 (明) 나라 때는 초팔월 (초팔월)부터 정월 17일 (정월 17일)까지 밤에 등불을 켰습니다. 중국 역사상 가장 긴 등불 축제입니다. 춘절 (春節)과 함께, 대낮, 떠들썩하고, 밤에 등불을 켜고, 정말 장관입니다.특히 정교하고 다채로운 등불은 설날 오락활동의 하이라이트였다.청대에 이르러 용춤 · 사자춤 · 뱃놀이・높은 나무다리밟기 · 양걸춤 등'백희 (百戏)'내용이 추가되었고, 절기만 4~5일로 단축되었다.
 
닻점 접기의 진화 및 발전
동한 명제 (明帝) 시기, 명제가 불교를 제창했다. 듣자하니 불교에서는 정월 대보름에 승려들이 불교를 구경하고 등불을 켜서 불교를 공경한다는 말을 들었다. 그리하여 그날 밤 궁전과 사원에서 등불을 켜고 불교를 공경하라고 명령했다.그후 이러한 불교례의명절은 점차 민간의 성대한 명절로 되였다.이 명절은 궁정에서 민간으로, 중원에서 전국에 이르는 발전과정을 거쳤다.
 
남북조시기에 이미 정월대보름에 등불을 켜는 풍속이 형성되였는데 진정으로 정월대보름날에 등불을 켜는 풍속을 더욱 발전시킨것은 수당시기이다.수나라시기에 정월 보름날 원소절은 이미 공전의 성황을 이루었다.≪ 수서류전 ≫에는"정월마다 밤을 새워 거리를 가득 메우고 벗들이 모여 놀았으며북소리가 하늘을 울리고 횃불이 땅을 비추네."당시 장안성의 주민들은 모두 나와 등불을 구경하고 극을 보았으며 거리공연도 풍부하고 재미있었다.
 
수 · 당 · 송 이래로 원소절은 한때 매우 성행했다.≪ 수서 (隋书) · 음악지 (뮤직) ≫에서"정월이 되면 만국에서 왕조가 오면 15일까지 8리에 걸쳐 단문 (丹門) 밖의 건국문 (建國門) 안에 누워 극을 공연한다."고 하였다.당나라의 원소절은 수나라보다 더욱 흥청거렸다.당나라 류숙의 ≪ 대당신어 ≫에는"경성의 정월 망일, 화려하게 등롱을 장식하는 모임, 금오이완이 허락하여 밤길을 걷게 하였다.귀신, 친척, 그리고 그 땅에 내려가는 로동자, 가사장들 가운데서 밤에 노닐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당나라, 국력이 전례없이 강대한 당나라는 원소등구경이 매우 번창했다. 수도든 시골이든, 곳곳마다 채색등을 달고, 사람들은 또 거대한 등바퀴, 등나무, 등기둥 등을 만들었으며, 온 도시가 은화로 장식되어 매우 번화하고 흥청했다.
 
송조 (宋朝) 에서는 정월 14일부터 18일까지 모두 연등을 했다.송나라 원소 (元宵)에는"부녀자들이 길거리에 나가 밤부터 밤까지 남녀가 혼돈"하는 광희 외에도 관원이 돈을 나누어 주고 군왕과 백성이 함께 원소를 감상했다.심지어 공포스러운 색채도 있어, 수감자들은 조명 장식이나 영상을 이용해 교도소 수감자들의 이야기를 보여주거나 감옥 도구 등을 전시한다.송나라때 정월 대보름날은 가장 흥청거리는 세속적인 카니발로 발전하였다. 등불축제는 더욱 풍부하고 다채로왔다. 정월 대보름날 등불 구경은 5일간 지속된다. 등불 양식도 다양하여 등불시장을 구경하는 것은 아주 즐겁다.시인 신기질은"동풍밤에 꽃피운 천수만나무 더 불어 떨어지니 별들이 비오듯 쏟아지네."라고 썼다. 송조때 등불축제에는 꽃등이 무수히 많았고 불꽃은 별비가 내리듯 아름다웠다.이때 또 여러가지 등롱수수께끼를 풀기 시작하였는데 종이 조각에 여러가지 등롱수수께끼를 써서 등롱에 붙이면 답을 맞힌 사람은 작은 상을 받을수 있었다.이런 오락활동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있으며 널리 전파되고있다.
 
원조때에 이르러 대부분의 휴가기간은 취소되였다. 원조통치자들은 운동은 생명이고 일은 휴식이라고 생각하였는바 년간휴가기간은 16일밖에 안되였다.
 
명나라시기 등불절은 더욱 오래 지속되였는데 정월 초팔일부터 17일까지 열흘동안 노래와 춤으로 태평성세를 상징하였다.
 
청조, 이민족이 중원의 주인이 되자 궁정에서는 더는 등불축제를 열지 않았지만 민간의 등불축제는 여전히 장관이였다.청나라는 정월 대보름날이 3일 밖에 안되지만 민간의 등불은 더욱 정교하고 기이하고 기묘한 등불로 여전히 사람들을 매료시킨다.
 
현대에는 날자가 5일로 단축되여 오늘날까지 계속되고있다.2015년, 대표위원들은 원소절에 휴가를 줄것을 건의했다.정월 대보름날의 풍속은 아주 특색있는바 오늘날까지 발전되여왔다. 등불을 감상하고 불꽃놀이를 하는것은 여전히 정월 대보름날의 주요풍속중의 하나이다.
 
닻점이 꽃등을 접어 기거하다
민간에서는 제석에 하느님을 모실 때'천지당'을 세운다.사람들은 마당에 작은 막을 치고 그안의 탁자에"천지삼계, 십방만령진재"라는 신위를 세워놓았다.신위 앞에는 향로와 제물을 놓고 강태공의 자리를 대표하는 등롱이 걸려 있다.전하는데 의하면 강태공이 신을 봉할 때 다른 사람들은 모두 봉하였지만 자기에게 봉하는것을 잊어버려 할수없이 하느님과 함께 앉았다고 한다.
 
등롱은 신과 관련된 것인만큼 상징적인 의미가 많다.
 
옛날에는 사람들이 어둠의 두려움을 쫓아내기 위해 등롱이 마귀를 쫓고 복을 내려 빛을 빌는 의미로 파생되었다.
 
민남어에서"등 (灯)"과"정 (丁)"의 발음이 비슷하기때문에 등롱은 또한 잡귀를 막고 무사하게 하기 위해 아들을 낳거나 출정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광명등"이라는 말이 있는데 년말년초에는 등롱을 사찰에 두고 부처의 법력으로 한해를 무사히 보낼수 있다.
 
또 어떤 농가에서는 밭에 장대를 세우고 등불을 달아놓고 불빛을 관찰하여 한해의 수재상황과 가물상황을 예측함으로써 풍년을 기대하기도 한다.
 
"천등을 띄우다"이날 사람들은 천등을 띄우는 의식을 경축하는데 이를"기원등"또는"평안등"이라고도 한다.이후 하늘에 소원을 비는 민속행사로 발전했다.등불에는 천정으로 올라가 사람들에게 끝없는 희망과 광명을 안겨줄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속의 여러 가지 소원이 가득 적혀 있다.
 
원소절 꽃등의 종류는 매우 많은데, 용등, 호랑이등, 토끼등 등과 같은 사물의 형상을 모방하여 형상등을 만들거나 견우직녀, 24 효 등과 같은 민담에 근거하여 움직이는 등을 만들어 충성, 효도, 의리의 민족 정신을 표현한다.각종 꽃등의 제작이 정교하여 장인의 지혜와 기능을 보여준다.
 
시대의 발전과 더불어 정월대보름 등불축제는 갈수록 성대하게 거행되고 민족적특색이 갈수록 짙어졌으며 등불축제의 시간도 갈수록 길어졌다.당조의 등불축제는 상원을 전후하여 각각 1일, 3일이였다.송조때에는 또 16일후에 2일을 더하여 5일로 하였으며명조때에는 초여덟날로부터 열여덟날까지로 연장하였다.등불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처음 등불을 밝히는 날을"시등"이라고하고, 15일을"정등"이라고 하며, 마지막 날을"잔등","난등"이라고 한다.'신기한 등','사람등','귀신등'이라고도 한다.14일 밤"신등"을 집안의 신위, 종묘 앞에 놓고, 조상에게 제사;15일 밤을"인등 (人燈)"이라고 하는데, 문이나 창문, 침대, 책상 등에 놓아 전갈과 벌레를 잡는다.16일 밤은'귀신등 (鬼神燈)'이라 하여 구묘 (丘墓)나 들판 (들판)에 놓고, 혼령을 헤염치기 위해 귀신의 영토를 벗어날 수 있다.위로는 하늘의 뜻을 빌고 아래로는 창생을 보호하며 신, 사람, 귀신, 짐승 등 빠지는 것이 없다.
 
본단락의 한족민속을 편집한다
닻점 접기 머리말
중국은 땅이 넓고 역사가 유구하므로 원소절에 관한 풍속은 전국 각지마다 다르다. 그 중 원소 먹기, 꽃등 감상, 용춤, 사자춤 등은 원소절의 중요한 민간 풍속이다.정월 대보름은 중국의 전통 명절이기 때문에 전국 각지에서 지내요, 대부분 지역의 풍속은 비슷하지만, 각 지역마다 역시 자신만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국 민속 접기
원소를 먹다
 
우리 나라에서도 정월 대보름에 원소를 먹은적이 있는데"원소"를 음식으로 삼은적이 있다.송 (宋) 대에 민간에서는 원소절에 먹는 신기한 음식이 유행하였다.이 식품을 최초에는"부원자"라고 불렀고 후에는"원소"라고 불렀으며 장사꾼들은"원보"라고 불렀다.원소, 즉 탕위엔 (湯圆)은 설탕, 장미, 참깨, 콩고물, 황계, 호두, 과육, 대추 등을 소로하고, 찹쌀가루로 둥글게 싸서 고기와 야채로도 만들 수 있어 맛이 각기 다르다.탕으로 끓이고, 기름에 튀기고, 찐 음식을 먹을 수 있는데, 단란하고 원만하다는 뜻이 있다.섬서의 탕원은 싸서 만든것이 아니라 싸서 만든것이다以上翻译结果来自有道神经网络翻译(YNMT)· 通用领域
 
逐句对照
 

元宵节, 小正月、元夕或灯节,时间为每年农历正月十五。正月是农历的元月,古人称"夜"为"宵",正月十五是一年中第一个月圆之夜,所以称正月十五为"元宵节"。根据道教"三元"的说法,正月十五又称为"上元节"。元宵节习俗自古以来就以热烈喜庆的观灯习俗为主。元宵节的形成有一个较长的过程,根源于民间开灯祈... >>>

 
 

基本信息

  • 中文名称元宵节
  • 外文名称Lantern Festival
  • 别名上元节、天官节、春灯节、小正月、元夕
  • 节日时间农历正月十五
  • 节日类型中国传统节日
  • 流行地区中国
  • 节日起源燃灯习俗、汉武帝祭祀说、纪念平吕说等
  • 节日活动赏灯、押舟、猜灯谜、耍龙灯踩高跷
  • 节日饮食元宵汤圆
  • 节日意义传承与弘扬传统文化
  • 设定时间汉朝
  • 遗产编号Ⅹ-71
  • 类别民俗
  • 批准时间2014年12月3日
  • 非遗保护单位文化和旅游部

简介

元宵节, 小正月元夕灯节,时间为每年农历正月十五。

正月是农历的元月,古人称"夜"为"宵",正月十五是一年中第一个月圆之夜,所以称正月十五为"元宵节"。根据道教"三元"的说法,正月十五又称为"上元节"。元宵节习俗自古以来就以热烈喜庆的观灯习俗为主。

元宵节的形成有一个较长的过程,根源于民间开灯祈福古俗。据一般的资料与民俗传说,正月十五在西汉已经受到重视,不过正月十五元宵节真正作为全国民俗节日是在汉魏之后。正月十五燃灯习俗的兴起也与佛教东传有关,唐朝时佛教大兴,仕官百姓普遍在正月十五这一天"燃灯供佛",佛家灯火于是遍布民间,从唐代起,元宵张灯即成为法定之事。

元宵节是中国的传统节日之一。元宵节主要有赏花灯、吃汤圆、猜灯谜、放烟花等一系列传统民俗活动。此外,不少地方元宵节还增加了游龙灯、舞狮子、踩高跷、划旱船、扭秧歌、打太平鼓等传统民俗表演。2008年6月,元宵节选入第二批国家级非物质文化遗产

 

折叠编辑本段节日起源

折叠节日由来

元宵节是中国的传统节日,元宵节习俗的形成有一个较长的过程,根源于民间开灯祈福古俗。开灯祈福通常在正月十四夜便开始"试灯",十五日夜为'"正灯',民间要点灯盏,又称"送灯盏",以进行祭神祈福活动。东汉佛教文化的传入,对于形成元宵节习俗也有着重要的推动意义,汉明帝永平年间,汉明帝为了弘扬佛法,下令正月十五夜在宫中和寺院"燃灯表佛"。因此正月十五夜燃灯的习俗随着佛教文化影响的扩大及后来道教文化的加入逐渐在中国扩展开来。南北朝时,元宵张灯渐成风气。梁武帝笃信佛教,其宫中正月十五大张灯火。唐朝时,中外文化交流更为密切,佛教大兴,仕官百姓普遍在正月十五这一天"燃灯供佛",佛家灯火于是遍布民间。从唐代起,元宵张灯即成为法定之事。

农历正月十五是元宵节,又称上元节、元夜、灯节。正月是农历的元月,古人称夜为"宵",所以称正月十五为"元宵节"。 当随着社会和时代的变迁,元宵节的风俗习惯早已有了较大的变化,但至今仍是中国民间传统节日。元宵在早期节庆形成过程之时,只称正月十五、正月半或月望,隋以后称元夕或元夜。唐初受了道教的影响,又称上元,唐末才偶称元宵。但自宋以后也称灯夕。到了清朝,就另称灯节。在国外,元宵也以The Lantern Festival而为人所知。正月十五这一天晚上,中国人素有赏花灯、吃汤圆、吃元宵、猜灯谜、放烟花等一系列传统民俗活动。

折叠其它传说

纪念"平吕"

传说元宵节是汉文帝时为纪念"平吕"而设。汉高祖刘邦死后,吕后之子刘盈登基为汉惠帝。汉惠帝病死后吕后独揽朝政把刘氏天下变成了吕氏天下,朝中老臣、刘氏宗室深感愤慨,但都惧怕吕后残暴而敢怒不敢言。

吕后病死后,诸吕惶惶不安害怕遭到伤害和排挤。于是,在上将军吕禄家中秘密集合,共谋作乱之事,以便彻底夺取刘氏江山。此事传至刘氏宗室齐王刘襄耳中,刘襄为保刘氏江山,决定起兵讨伐诸吕随后与开国老臣周勃、陈平取得联系,设计解除了吕禄,"诸吕之乱"终于被彻底平定.

平乱之后,众臣拥立刘邦的第四个儿子刘恒登基,称汉文帝。文帝深感太平盛世来之不易,便把平息"诸吕之乱"的正月十五,定为与民同乐日,京城里家家张灯结彩,以示庆祝。从此,正月十五便成了一个普天同庆的民间节日--"闹元宵"。

汉武帝时,"太一神"的祭祀活动定在正月十五。(太一:主宰宇宙一切之神)。据说司马迁创建"太初历"时,就已将元宵节确定为重大节日。

火把节

元宵节是中国自古的传统节日,据说元宵赏灯始于上古民众在乡间田野持火把驱赶虫兽,希望减轻虫害,祈祷获得好收成。直到今天,中国西南一些地区的人们还在正月十五用芦柴或树枝做成火把,成群结队高举火把在田头或晒谷场跳舞。隋、唐、宋以来,更是盛极一时。参加歌舞者足达数万,从昏达旦,至晦而罢。当随着社会和时代的变迁,元宵节的风俗习惯早已有了较大的变化,但至今仍是中国民间传统节日。

"三元说"

元宵燃灯的习俗也有认为起源于道教的"三元说";上元,含有新的一年第一次月圆之夜的意思。上元节的由来,《岁时杂记》记载说,这是因循道教的陈规。汉末道教的重要派别五斗米道崇奉的神为天官、地官、水官,说天官赐福,地官赦罪,水官解厄,并以三元配三官,说上元天官正月十五生,中元地官七月十五生,下元水官十月十五生。魏晋道家以"三官"与时日节候相配,定正月十五为"上元",七月十五为"中元",十月十五为"下元",合称"三元"。 这样,正月十五就被称为上元节。南宋吴自牧在《梦粱录》中说:"正月十五元夕节,乃上元天官赐福之辰。"故上元节要燃灯。

明帝敬佛

源于佛教说。这种说法主要是胡申生先生主编的社会风俗三百题》中:"佛教教义中把火光比作佛之威神,《无量寿经》有'无量火焰,照耀无极'说法。在佛教教义中,灯一直是作为佛前的供具之一。而且佛教经典中反复宣传:'百千灯明忏悔罪'(《菩萨藏经》),'为世灯明最福田'(《无量寿经》)。逢遇佛教盛会都要大明灯火。在佛教传说中,于正月十五张灯有关系的是有关佛祖神变的事迹。

据《僧史略》载,佛祖释迦牟尼示现神变、降伏神魔是在西方12月30日,即东土正月十五,为纪念佛祖神变,此日需举行燃灯法会。东汉明帝时,摩腾竺法兰东来传教,汉明帝就敕令正月十五佛祖神变之日燃灯,并亲自到寺院张灯,以示礼佛。自此以后,元宵灯便蔚然成风。"但是也有学者认为,此种观点站不住脚,认为佛教只是在这一天利用人们的节庆气氛来扩大自己的影响。

折叠编辑本段历史发展

折叠节期节俗

元宵节的节期与节俗活动,是随历史的发展而延长、扩展的。就节期长短而言,汉代才一天,到唐代已为三天,宋代则长达五天,明代更是自初八点灯,一直到正月十七的夜里才落灯,是中国历史上最长的灯节,与春节相接,白昼为市,热闹非凡, 夜间燃灯,蔚为壮观。特别是那精巧、多彩的灯火,更使其成为春节期间娱乐活动的高潮。 至清代,又增加了舞龙、舞狮、跑旱船、踩高跷扭秧歌等"百戏"内容,只是节期缩短为四到五天。

折叠演变发展

东汉明帝时期,明帝提倡佛教,听说佛教有正月十五僧人观佛舍利,点灯敬佛的做法,就命令这一天夜晚在皇宫和寺庙里点灯敬佛,令士族庶民都挂灯,也就形成了元宵赏灯。以后这种佛教礼仪节日逐渐形成民间盛大的节日。该节经历了由宫廷到民间,由中原到全国的发展过程。

南北朝时,元宵节燃灯已成气候, 而真正让元宵节燃灯之俗发扬光大的则是隋唐。隋朝时,正月十五元宵节已盛况空前。《隋书·柳彧传》记载:"每正月望夜,充街塞陌,聚戏朋游。鸣鼓聒天,燎炬照地。"当时的长安城居民都会出来观灯看戏,街头表演也丰富有趣,"人戴兽面,男为女服,倡优杂伎,诡状异形。"

自隋、唐、宋以来,元宵节曾盛极一时。《隋书·音乐志》日:"每当正月,万国来朝,留至十五于端门外建国门内,绵亘八里,列戏为戏场",参加歌舞者足达数万,从昏达旦,至晦而罢。唐朝元宵节比隋朝更热闹。唐刘肃《大唐新语》记载:"京城正月望日,盛饰灯影之会,金吾弛禁,特许夜行。贵臣戚属及下俚工贾,无不夜游。" 唐朝,在国力空前强大的唐朝,元宵赏灯十分兴盛,无论是京城或是乡镇,处处张挂彩灯,人们还制作巨大的灯轮灯树、灯柱等,满城的火树银花,十分繁华热闹。

宋朝,从正月十四到正月十八,都有燃灯活动。 宋代元宵除了"妇女出游街巷,自夜达旦,男女混淆"的狂欢外,还有官员派发利是、君王与百姓同赏元宵;甚至有恐怖色彩,刑狱机构会利用灯饰、图像演绎狱户故事或陈列狱具等。元宵节在宋代发展成最热闹的世俗狂欢节, 灯节更加丰富多彩,元宵赏灯持续五天,灯的样式繁复多样,逛灯市更是一件十分赏心悦目的事情。诗人辛弃疾写道:"东风夜放花千树,更吹落,星如雨",说的就是宋朝灯节花灯无数,烟花如星雨。那时还兴起了猜灯谜,即将各种灯谜写在纸条上,贴在花灯上,猜中的人还能得到小小的奖励。这种娱乐益智的活动受到人们喜爱,广为流传。

到了元代大部分假期都被取消,元朝统治者认为生命在于运动,工作就是休息,全年假期只有16天。

明朝的灯节持续的时间更长,自正月初八到十七整整十天,以显示歌舞升平。

清朝,异族入主中原,宫廷不再办灯会,民间的灯会却仍然壮观。元宵节清朝则只有三天,但是民间灯火璀璨,灯也更加精致奇幻,依然十分吸引人。

现代,日期缩短为五天,一直延续到今天。2015年,代表委员建议元宵节放假。元宵节的节俗非常有特色,发展至今,赏灯与烧烟花仍是元宵主要习俗之一。

折叠花灯寄寓

民间在除夕供奉老天爷时要设立"天地堂"。人们在院子里扎一小棚,棚里面小桌上立着"天地三界十方万灵真宰"的神位;神位前摆着香炉、供品,还挂着一盏灯笼,灯笼代表姜太公的席位。据说姜太公当年封神时,别人都封了,就是忘记了封自己,自己没有席位只好和老天爷坐在一起。

灯笼与神有关,所以也赋予很多象征意义。

古时候,人们为了驱逐黑暗的恐惧感,于是灯笼衍生为具有驱魔降福、祈许光明之意。

闽南语中"灯"与"丁"发音相近,所以灯笼也用来求子添丁,求取功名,求得避邪平安。

有一种"光明灯",在岁末年初时,把灯笼放在寺庙中,藉以佛的法力求得一年中平安顺利。

也有农家在田间立长竹竿挂上一盏灯 "照田蚕",观察火色以预测一年的水旱情况,以期丰年。

"放天灯",这天,人们以放天灯的仪式来庆祝,所以又称天灯为"祈福灯"或"平安灯"。其后逐渐演变为向上天祈福许愿的民俗活动。天灯上写满了心里的各种祈愿,希望天灯能上达天庭,带给人无限的希望和光明。

元宵节花灯种类甚多,或是仿照事物的形象编制的形象灯,如龙灯、虎灯、兔灯等等,或是根据民间故事编制而成的活动灯,如牛郎织女、二十四孝等等,表现忠孝节义的民族精神。各种花灯制作工巧,一展工匠的智慧和技能。

随着时代的发展,元宵灯节办得越来越盛大,民族特色越来越浓,灯节的时间也越来越长。唐代的灯会是上元前后各一日,三天;宋代又在十六之后加了两日,为五天;明代则延长到由初八到十八整整十天。因为灯期不同,所以最初张灯的那天叫"试灯",十五这天叫"正灯",最末一天叫"残灯"、"阑灯"。也有叫"神灯"、"人灯"、"鬼灯"之说。十四日夜为"神灯",放于家中神位、宗祠前,以祭神明先祖;十五夜叫"人灯",放在门窗、床笫、几案等处,用来避除蝎虫;十六日夜为"鬼灯",放在丘墓、原野,为了游魂得到可以脱离鬼域。上祈天意,下护苍生,神人鬼畜,无所遗漏。

折叠编辑本段汉族民俗

折叠引言

中国幅员辽阔,历史悠久,所以关于元宵节的习俗在全国各地也不尽相同,其中吃元宵、赏花灯、舞龙、舞狮子等是元宵节几项重要民间习俗。元宵节是中国的传统节日,所以全国各地都过,大部分地区的习俗是差不多的,但各地也还是有自己的特点。

折叠全国民俗

吃元宵

正月十五吃元宵,"元宵"作为食品,在我国也由来已久。宋代,民间即流行一种元宵节吃 的新奇食品。这种食品,最早叫" 浮元子"后称"元宵" ,生意人还美其名曰"元宝" 。元宵即"汤圆"以白糖、玫瑰、芝麻、豆沙、黄桂、核桃仁、果仁、枣泥等为馅,用糯米粉包成圆形,可荤可素,风味各异。可汤煮、油炸、蒸食,有团圆美满之意。陕西的汤圆不是包的,而是在糯米粉中"滚"成的,或煮司或油炸,热热火火,团团圆圆。

"元宵"作为食品,在中国也由来已久。宋代,民间即流行一种元宵节吃的新奇食品。这种食品,最早叫"浮元子"后称"元宵",生意人还美其名曰"元宝"。古时"元宵"价格比较贵,有一首诗说:"贵客钩帘看御街,市中珍品一时来。帘前花架无路行,不得金钱不得回。"

北方"滚"元宵,南方"包"汤圆,这是两种做法和口感都不同的食品。

闹花灯

农历正月十五是"元宵节",此节日民间有挂灯、打灯、观灯等习俗,故也称灯节

闹花灯是元宵节传统节日习俗,始于西汉,兴盛于隋唐。隋唐以后,历代灯火之风盛行,并沿袭传于后世。而正月十五,又是一年一度的闹花灯放烟火的高潮。所以也把元宵节称为"灯节"在山西的县城一级城廓甚至乡,镇中,这些居民集中地,繁华热闹区,在正月十五到来之前,满街挂满灯笼,到处花团锦簇,灯光摇曳,到正月十五晚上达到高潮。正月十五的"观灯"已经成为山西民间群众自发的活动,在正月十五晚上,街头巷尾,红灯高挂,有宫灯、兽头灯、走马灯、花卉灯、鸟禽灯等等,吸引着观灯的群众。太原一带,太谷县的灯是很有名气的。太谷的灯,以品种繁多、制作精巧、外观引人出名。

猜灯谜

猜灯谜又称打灯谜,是中国独有的富有民族风格的一种传统民俗文娱活动形式,是从古代就开始流传的元宵节特色活动。每逢农历正月十五,传统民间都要挂起彩灯,燃放焰火,后来有好事者把谜语写在纸条上,贴在五光十色的彩灯上供人猜。因为谜语能启迪智慧又迎合节日气氛,所以响应的人众多,而后猜谜逐渐成为元宵节不可缺少的节目。灯谜增添节日气氛,展现了古代劳动人民的聪明才智和对美好生活的向往。

耍龙灯

耍龙灯,也称舞龙灯或龙舞。见于文字记载的龙舞,是汉代张衡的《西京赋》,作者在百戏的铺叙中对龙舞作了生动的描绘。而据《隋书·音乐志》记载,隋炀帝时类似百戏中龙舞表演的《黄龙变》也非常精彩,龙舞流行于中国很多地方。华夏崇尚龙,把龙作为吉祥的象征。

踩高跷

踩高跷,是民间盛行的一种群众性技艺表演。高跷本属中国古代百戏之一种,早在春秋时已经出现。中国最早介绍高跷的是《列子·说符》篇:"宋有兰子者,以技干宋元。宋元召而使见其技。

舞狮子

舞狮子是中国优秀的民间艺术,每逢元宵佳节或集会庆典,民间都以狮舞前来助兴。这一习俗起源于三国时期,南北朝时开始流行,至今已有一千多年的历史。

"舞狮子"始于魏晋,盛于唐,又称"狮子舞"、"太平乐",一般由三人完成,二人装扮成狮子,一人充当狮头,一人充当狮身和后脚,另一人当引狮人,舞法上又有文武之分,文舞表现狮子的温驯,有抖毛、打滚等动作,武狮表现狮子的凶猛,有腾跃、蹬高、滚彩球等动作。

划旱船

划旱船,也称跑旱船,就是在陆地上模仿船行功作,表演跑旱船的大多是姑娘。旱船不是真船,多用两片薄板,锯成船形,以竹木扎成,再蒙以彩布,套系在姑娘的腰间,如同坐于船中一样,手里拿着桨,做划行的姿势,一面跑,一面唱些地方小调,边歌边舞,这就是划旱船了。有时还另有一男子扮成坐船的船客,搭档着表演,则多半扮成丑角,以各种滑稽的动作来逗观众欢乐。划旱船流行于中国很多地区。

祭门、祭户

古代有"七祭",这是其中的两种。祭祀的方法是,把杨树枝插在门户上方,在盛有豆粥的碗里插上一双筷子,或者直接将酒肉放在门前。

逐鼠

逐鼠是一项元宵节期间的传统民俗活动,始于魏晋时期。主要是对养蚕人家所说的。因为老鼠常在夜里把蚕大片大片地吃掉,人们传说正月十五用米粥喂老鼠,它就可以不吃蚕了。

《荆楚岁时记》中说,正月十五的时候,有一个神仙下凡到一个姓陈的人家,对他们说:如果你们能祭祀我,就让你们的桑蚕丰收。后来就形成了风俗。

送孩儿灯

简称"送灯",也称"送花灯"等,即在元宵节前,娘家送花灯给新嫁女儿家,或一般亲友送给新婚不育之家,以求添丁吉兆,因为"灯"与"丁"谐音。这一习俗许多地方都有,陕西西安一带是正月初八到十五期间送灯,头年送大宫灯一对、有彩画的玻璃灯一对,希望女儿婚后吉星高照、早生麟子;如女儿怀孕,则除大宫灯外,还要送一两对小灯笼,祝愿女儿孕期平安。

迎紫姑

紫姑也叫戚姑,北方多称厕姑、坑三姑。古代民间习俗正月十五要迎厕神紫姑而祭,占卜蚕桑,并占众事。传说紫姑本为人家小妾,为大妇所妒,正月十五被害死厕间,成为厕神。每到迎紫姑这一天夜晚,人们用稻草、布头等扎成真人大小的紫姑肖像,与夜间在厕所间猪栏迎而祀之。此俗流行于南北各地,早在南北朝时期就见于记载。

走百病

"走百病",也叫游百病,散百病,烤百病,走桥等,是一种消灾祈健康的活动。元宵节夜妇女相约出游,结伴而行,见桥必过,认为这样能祛病延年。

走百病是明清以来北方的风俗,有的在十五,但多在十六日进行。这天妇女们穿着节日盛装,成群结队走出家门,走桥渡危,登城,摸钉求子,直到夜半,始归。

折叠节日食俗

元宵节,家家户户自制元宵(今有专业户专卖)。元宵古称"浮元子",是一种雅俗共尝,甜而不腻,脍炙人口的民间小吃,全国流行。正月十五吃元宵,"元宵"作为食品,在中国也由来已久。宋代,民间即流行一种元宵节吃 的新奇食品。这项食品